논평_
[논평]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관련 국정원의 정치공작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논평(2015.2.28)
등록 2015.02.28 11:35
조회 613

 

 

국정원의 추악한 정치공작 진상을 밝혀라

- 권력에 놀아난 언론의 참회를 촉구한다 -

 

 

노무현 전 대통령을 모욕해 죽음으로 내몬 여론재판 뒤에 국가정보원의 정치공작이 있었다는 증언이 수사 핵심 관계자의 입을 통해 나왔다. 언론을 통한 국가정보원의 추악한 정치공작 상황이 드러난 것이다. 

 

25일 경향신문엔 2009년 ‘박연차 게이트’ 수사를 지휘했던 이인규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의 인터뷰가 실렸다. 이 전 부장은 국정원이 수사에 적극적으로 개입했고, “노 전 대통령 수사 내용 일부를 과장해 언론에 흘린 건 국가정보원”이었다고 밝혔다. 이 전 부장이 ‘과장’했다고 한 것은 권양숙 여사가 박연차 씨한테 받은 명품시계를 ‘논두렁에 버렸다’는 것으로 이후 이에 대한 대대적이고, 원색적인 언론보도가 난무했고, 인터넷에는 “1억짜리 시계 찾으러 가자”는 비아냥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은 “바깥에 버렸다”고만 했을 뿐 ‘논두렁’이라는 진술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었고, 이 전 부장이 사실이라고 고백한 것이다. 

당시 국정원은 검찰 수사에 개입해 ‘시계 언론플레이’를 제안했다가 거절당하자 직접 ‘논두렁 시계’를 조작하고 언론에 흘려 공작정치에 나섰다. 구속 영장 청구에 대한 정치적 부담을 피하고, 대신에 대대적인 모욕주기로 노 전 대통령에게 정치적 사형선고를 내리자는 음모였다. 국정원은 결과적으로 전직 대통령을 사지로 몰아넣는 간접살인을 저지른 것이다. 당시 국정원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원세훈 씨로 그는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한 ‘댓글공작’으로 유죄를 선고받았다. 그는 직접 댓글을 작성해 퍼뜨린 국정원 직원의 ‘개인의 일탈행위’라고 항변했지만 법원은 국정원의 조직적인 범죄로 인정했다. 국가 안보의 책무를 맡은 국정원이 국가안보는 내팽개치고 특정 정권의 안위를 위해 가공할 범죄까지 저지른 것이다. 이런 조직이 국가에 필요한지 근본적인 회의가 든다.

 

한편 진실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수년 동안 숨겨왔던 이인규 전 부장의 때 늦은 고백이 그와 검찰에 면죄부가 될 수 없다. 검찰이 2008년 ‘광우병위험 쇠고기 촛불시위’로 바닥까지 추락한 이명박 정권 지지도에 반등을 꾀하려 국정원과 충성경쟁을 벌였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다. 당시 검찰은 수사 상황을 대대적으로 브리핑해 노 전대통령에 대한 악의적인 언론플레이를 일삼았다. 그러한 검찰의 파렴치한 언론플레이는 검사출신으로 법무부장관까지 지냈던 당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조차 “이런 수사는 처음본다”고 했을 정도다. 정권에 대한 충성경쟁으로 노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내몬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우리는 이런 소식을 접하고도 무서우리만치 침묵으로 일관하는 언론의 행태 또한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언론은 국정원과 검찰의 공작정치와 모욕주기에 부화뇌동하며 여론재판을 이끌었다.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하자 조선․중앙․동아일보는 뻔뻔스럽게도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펼치는가 하면 정권과 검찰에 대한 비난의 화살을 돌리는데 안간힘을 썼고, 심지어 노 전 대통령을 부관참시까지 하는 패륜을 저질렀다. 그런데도 이들 수구언론들은 물론 어떤 언론에서도 반성의 목소리는 찾을 수 없다.  

 

우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가 이명박 정권의 치졸한 정치보복으로 일어났다는 점에서 애통함과 함께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이인규 전 부장이 밝힌 것은 빙산의 일각일 것이다.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하기까지 국정원과 검찰이 어떻게 개입했고 충성경쟁의 진상이 무엇이었는지 낱낱이 밝혀져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국정원과 검찰에 놀아난 언론의 참회 또한 강력히 촉구한다. <끝>

 

 

 

2015년 2월 28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