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_
[MBC노조 성명] 결국 겁주고 솎아내기 위한 교육이었나?결국 겁주고 솎아내기 위한 교육이었나?
납득할 수 없는 사측의 인사권 남용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교육 발령을 받았던 12명 가운데 7명에 대해 사측은 어제 ‘신사업개발센터’ ‘뉴미디어포맷개발센터’ ‘경인지사’ 등으로 발령을 냈다. 사측은 교육 기간의 성적과 개인 면담을 통해 업무 배치를 하겠다고 했지만, 결국 ‘현업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기자와 PD들을 비제작부서로 내몬 것이다.
그리고, 어제 인사 발령을 받지 못한 5명은 이도 저도 아닌 비정상적인 인사 상황에 놓이게 됐다. 회사 고유의 권한이라며 인사권에 대한 어떠한 비판도 용납하지 않던 사측이 이렇게 비정상적인 인사권의 공백 상황을 스스로 자초하고 있는 것이다. 이쯤되면 도대체 무엇을 위한 ‘교육’이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이미 수차례 지적했듯, 이번 교육 발령은 형식과 내용 모두 정당성을 찾기 힘든 돌발적인 인사 행위였다. 우선 아직도 그 대상자의 기준 자체가 모호하다. 조합은 지난주 사측과 <노사협의회>를 개최해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따졌지만, 돌아오는 답은 시원하지 않았다. 사측은 ‘저성과자’라는 기준과 ‘조직 개편에 따른 업무 재배치 과정에서 선택받지 못한 직원’이라는 기준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뭉뚱그려 설명했다. 그러나, 사측이 내세운 이 기준들도 사실과는 분명히 배치된다.
좋은 평가 속에 기획안까지 통과된 UHD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던 PD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선정한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상’을 받은 PD가 어떻게 ‘저성과자’라는 말인가? 교육발령 대상자의 상당수는 수상 실적으로 보나, 회사가 직접 실시한 인사 평가 결과로 보나 ‘저성과자’와는 거리가 먼 사람들이었다.
또, ‘업무 재배치시 선택받지 못했다’는 기준도 마찬가지이다.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인사 평가에서도 나쁘지 않은 고과를 받은 사람들이 ‘어떤 부서로부터도 선택 받지 못했다’는 설명을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는가? 결국 정체를 알 수 없는 2주간의 교육 과정은 또 다른 부당 전보에 앞서 겁주고 길들이기 위한 사전 절차였을 뿐이었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사측의 공포 정치 행태는 이 뿐만 아니다. 지난 5월 도입한 수시 평가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직원 20여명이 최근 근신, 감봉 등의 징계를 받았다. 물론 회사는 여러 차례 수시 평가 이행을 독촉하고 ‘인사상 불이익’ 가능성을 통보했다고 하지만, 그 불이익의 형태가 ‘징계’라는 점은 보직 간부들도 예상치 못한 대목이었다. 더구나, 이런 징계를 받으면 인사 고과에서도 낮은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어 결국 ‘이중징계’에 해당된다. ‘성과 관리’라는 도입 취지가 무색하게 회사는 ‘수시 평가’를 징계 수단으로 악용한 것이다.
무엇보다 현행 ‘수시평가’는 MBC의 다양한 직군에 대한 면밀한 직무 분석 없이 시행되면서 숱한 문제를 드러내고 있었다. 징계자가 대거 발생한 기술 직군은 통상적인 업무 수행과 관리가 주된 업무인 경우가 많다. 이는 일단위, 주간단위의 업무 보고 형태로도 작성되고 보직간부들에게 보고된다. ‘업무’가 아닌 ‘성과’를 내고 그것을 따로 입력하기 어려운 조직이 그만큼 많다는 얘기다. 그런데도 회사는 제도의 불합리한 면을 개선하는 대신 ‘징계’라는 채찍을 휘둘렀다. ‘무조건 따르라’는 협박으로 복종을 강요하는 행태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방송 환경 변화에 따른 회사의 위기 상황에 대해 조합 또한 깊은 우려를 가지고 있다. 이런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노사가 따로 있을 수 없다는 점 또한 분명히 한다. 그러나, 대화와 설득 대신 독선과 아집의 일방통행으로 일관하는 사측의 행태는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리더십으로 볼 수 없다. 능력이 검증된 PD와 기자들을 현업에서 배제하면서 ‘경쟁력’ 운운하는 것 또한 공허할 뿐이다. 조합은 이번 조직 개편과 인사 발령을 ‘배제’와 ‘탄압’을 위한 부당 행위로 판단하고, 그동안 여러 차례 밝힌 대로 대응 절차를 밟아갈 것이다.
2014년 11월 18일
전국언론노동조합 문화방송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