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_
[언론노조 성명] '총체적 함량 미달' 방문진 김문환 이사장은 자진 사퇴하라
등록 2013.11.28 17:22
조회 584



'총체적 함량 미달' 방문진 김문환 이사장은 자진 사퇴하라



방송문화진흥회 김문환 이사장의 진면목이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한마디로 ‘상식 이하’였다. ‘총체적 함량 미달’로 공영방송 MBC의 대주주인 방문진을 이끌 자격이 없다는 것이 절대 다수의 평가였다. 국감 내내 ‘해도 해도 너무 한다’는 혹평이 끊이지 않았다.


김문환 이사장의 ‘황당 발언’은 첫 질의에서부터 쏟아졌다. 새누리당 박대출 의원이 “대통령 패션에 대해 왜 이렇게 과잉 보도하느냐는 주장이 나오는데 동의하느냐”고 묻자, 김문환 이사장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하더니 한 술 더 떠 “대통령의 패션 보도가 더 강조되는 것이 좋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게 권력을 감시해야 할 언론의, 더구나 공영방송의 대주주 대표를 맡고 있는 사람이 할 소리인가.


반면 취임한 지 7개월이 넘었는데도 MBC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MBC 아침 뉴스가 몇 시에 시작하느냐”는 질문에 “7시에 하는 걸로 안다”고 답했고, “MBC 해직 언론인이 몇 명이냐”는 질문에는 “열댓 명”이라고 답했다. MBC는 수십 년 째 아침 6시부터 아침 뉴스를 하고 있고, 지난 정권에서 공정 방송을 요구하다 해직된 MBC 구성원은 모두 7명이다.


김문환 이사장은 7명의 MBC 구성원이 길게는 600일 넘게 해직 상태에 있는데도 이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기는커녕 “한 번도 만나본 일이 없다”고 당당하게 말했다. 나아가 “전통적으로 MBC에 노사 갈등이 많은 것은 전 세계가 다 아는 것이고, 개입해서 좋은 결과를 가져올지 자신이 없다”는 궤변까지 늘어놓았다. 또, “방문진에 위원회가 있고, 그 밑에 이사장이 있다”, “(이사장인) 제가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무능함을 스스로 드러내기도 했다.


적대적 노조관도 ‘과감하게’ 표출했다. 김문환 이사장은 “MBC 노보의 80%가 거짓”이라고 말했고, “그럼 MBC 노조원들이 거짓말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80%가 거짓이라는 증거가 뭐냐”는 의원들의 잇따른 추궁에 “주관적인 판단”이라고 한 발 빼면서도 사과하라는 요구에는 “못 한다”고 버텼다. 심지어 “노조에게 욕을 들어야 기분이 좋다”는 막말도 서슴지 않았다.


방송문화진흥회법은 1조에서 방문진의 설립 목적을 “MBC의 공적 책임을 실현하고 민주적이며 공정하고 건전한 방송문화의 진흥과 공공복지 향상에 이바지하게 함”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 방문진의 주요 업무의 하나로 “MBC의 경영에 대한 관리 및 감독”을 명시하고 있다. 김문환 이사장은 이번 국감 답변을 통해 자신은 ‘MBC의 공적 책임을 결코 실현할 수 없는 인물’임을 스스로 입증한 셈이다. ‘MBC에 대한 관리 감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인물’임을 여실히 드러낸 것이다. 오죽하면 여당인 새누리당 의원조차 공개적으로 “취임한 뒤 지금까지 한 일도 없고 답변 태도도 무책임하다”, “그런 마음으로 어떻게 MBC를 관리, 감독할 수 있겠는가”라고 꾸짖었겠는가.


법학자 출신인 김문환 이사장은 ‘MBC 김종국 사장이 노조에 언론노조 탈퇴를 종용한 것이 노동관계법 위반 아니냐’는 질문에도 명쾌하게 답변하지 않았다. 이를 놓고 한 의원은 “법학자로서 틀린 것은 틀렸다고 해야지, 방문진 이사장 자리가 뭐 그렇게 대단한 자리라고 지성인으로서 우물쭈물 답변하느냐”고 질타했다. 김문환 이사장은 대학교 총장과 한국지적재산권학회장, 한국대학총장협회장 등을 역임한 것으로 돼 있다. 하지만 방문진 이사장으로는 부적격하다는 것을 이번 국감을 통해 김문환 이사장 스스로 통감했을 것이다. 공영방송을 관리, 감독할 대주주 대표로서 함량 미달이라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본인이 절감했을 것이다. 김문환 이사장은 70년 가까이 쌓아온 자신의 명성에 더 이상 먹칠하지 말라. 희생을 무릅쓰고 공정방송을 위해 싸우는 MBC 구성원들의 자존심에 더 이상 상처주지 말라. 하루라도 빨리 방문진 이사장직에서 떠나라.



2013년 10월 30일

전국언론노동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