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_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선임에 대한 논평(2013.3.29)
등록 2013.09.26 11:15
조회 490
정수장학회 김삼천 이사장 선임에 대한 논평
 
박 대통령, 정수장학회 사회 환원 끝내 거부하나
 
 

27일 정수장학회가 새 이사장으로 전 상청회 회장 김삼천 씨를 선임했다. 이는 그동안 우리 국민이 요구해온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을 사실상 거부하는 너무도 실망스러운 인선이자 국민과 유족에게 배신감과 모욕감을 주는 결정이 아닐 수 없다.

김삼천 씨는 영남대를 졸업하고, 2005년부터 2012년까지 8년간 상청회 회장을 지낸 인물이다. 상청회는 정수장학회 장학금을 받고 졸업한 장학생들의 모임으로 회원 수가 3만 8천여 명에 이르는데다 끈끈한 조직력까지 과시하고 있는 조직이다. 여기에 더해 김 씨는 박근혜 대통령이 32년간 이사장을 맡았던 한국문화재단의 감사를 2009년부터 3년 여간 맡는 등 박 대통령과 직간접적으로 긴밀한 인연을 맺었던 인물이다.
특히 한국문화재단은 정수장학회·육영재단·영남학원과는 다르게 세간에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박 대통령의 측근들이 이사진으로 포진되어 있었다. 이들은 이번 대선 과정에서 ‘한몫’씩 한 것으로 보인다. 대선 시기 영남대 부총장이자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장인 최외출 이사는 박 후보의 ‘국민행복캠프’ 기획조정특보로, 변환철 이사는 친박 교수 모임인 ‘국가미래연구원’의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김달웅 이사는 친박 성향 교수 연구모임인 ‘바른사회하나로연구원’의 상임대표를 맡았다. 박근혜 대통령을 둘러 싼 또 다른 측근 그룹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 곳이다.
또한 당시 김 씨는 박근혜 의원에게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총 2,500만원이라는 거액의 후원금을 내기도 했다. 개인으로는 가장 많은 액수로 특수 관계가 아니라면 이런 거액을 내놓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인물이 정수장학회 새 이사장으로 왔다는 것은 ‘강탈 장물’ 정수장학회를 올바르게 사회에 환원하라는 시민사회의 요구에 박근혜 대통령이 분명한 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대선 과정에서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 요구가 비등하자 당시 박근혜 후보는 자신이 10년이나 이사장을 맡아왔던 정수장학회와 자신이 관련이 없다는 발뺌으로 일관했고, 그의 최측근 최필립 이사장의 거취에 대해서도 불분명한 언사로 책임을 회피해 왔다. 그러면서 ‘정수장학회는 정치활동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최필립 전 이사장은 ‘부산지역이 여당에게 유리하게 해야 한다’거나 이번 대선에서 ‘한몫’하겠다는 발언을 공공연히 떠들어 비난을 자초했다.
우리는 그동안 ‘강탈 장물’ 정수장학회의 올바른 사회 환원을 강력히 촉구해 왔다. 그럼에도 당시 박 당선인은 속 시원한 어떤 대답도 내놓지 않았다. 그러다가 대통령 취임에 맞춰 최필립 전 이사장이 사퇴를 선언하자 또 다른 측근을 그 자리에 앉힌 것이다. 돌려 막기 회전문 인사로 국민들의 눈과 귀를 가리려는 얕은 술수이다. 우리가 요구한 것은 최필립 이사장만의 사퇴가 아니다. 강탈 장물 정수장학회에 똬리를 틀고 있는 이사진의 동반 사퇴와 정수장학회의 온전한 사회 환원이다. 대통령이 되었다고 정수장학회 사회 환원이라는 과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대통령이 되었기 때문에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자신의 가장 긴급한 정치적 과제가 되었다고 보는 게 상식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사회 통합 의지와 올바른 역사관의 잣대는 바로 정수장학회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달려있다. 박 대통령은 정수장학회가 ‘자신과는 관련 없다’는 말을 되뇔 것이 아니라 국정 운영자로서 책임 있는 그리고 올바른 역사의식에 근거한 결단을 촉구한다. 정수장학회의 현 이사진은 즉각 모두 사퇴하고, 공정하고 중립적인 인물들로 새로 구성하라. 그리하여 정수장학회를 온전히 사회 환원하라. <끝>
 
 
2013년 3월 29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