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_
「네이스 운영방식 합의와 관련한 신문보도」에 대한 민언련 논평(2003.12.16)
등록 2013.08.07 18:31
조회 319

 

 

 

'딴죽걸기 저널리즘'에 빠진 조선일보  
.........................................................................................................................................................

 

 


지난 15일 국무총리실 정보화위원회는 전체 회의에서 '코로케이션 방식' 채택에 합의함으로써 '네이스 논란'이 종식되었다. 이 방식은 국가인권위원회로부터 권고 받았던 교무·학사·보건 3개 업무 영역은 학교별로 자체 서버를 구축하고 나머지는 통합서버를 구축하는 것으로, 교육부의 안과 전교조 안을 절충한 것이다.
이번 네이스 운영방식에 대한 양측의 합의는 사회적 갈등 문제를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해결했다는 점에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정작 조선일보는 다른 신문과 달리 '교단갈등' 운운하며 부정적으로 보도했으며, 동아일보도 소극적인 보도에 그쳤다.
중앙일보와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은 일단 이번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합의하지 못한 세부사안 문제를 조심스럽게 우려했다.


조선일보는 '교단갈등 재현' '반쪽짜리 합의' 등 부정적인 표현을 사용해 노골적으로 교육계의 네이스 운영방식 합의를 깎아 내렸다. 15일 <뉴스브리핑; 'NEIS' 오늘 결론…교단갈등 재현 우려>에서 조선은 "어떤 결론이 나오든 NEIS 지지파와 반대파 교사들 간 마찰이 본격화해 교단 갈등이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16일 <"학사·보건·진학영역 NEIS서 분리">에서 조선은 "교육계 내부에서는 올 한해 교단 갈등의 핵이었던 NEIS문제에 대해 전교조·교육부 등이 합의했다는 데 의미를 부여하자는 의견과 원칙적인 합의일 뿐 구체적인 시행 방침에 대해서는 이견을 좁히지 못한 반쪽짜리 합의라는 지적이 맞서고 있어 이에 대한 논란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라며 역시 부정적으로 보도했다. 그러나 정작 교단갈등을 재현할 것이라던 한국교총과 전교조 등 주요 5개 단체는 15일 이례적으로 공동성명을 내고 이번 합의를 평가하며 그간 갈등을 일으킨 것에 대해 사과했다.


동아일보는 15일 <NEIS 절충안 채택 가능성 높아>와 16일 <NEIS 3개영역 분리운용>에서 세부적으로 서버 숫자와 학생들의 정보삭제 청구권 허용 범위 등 세부사항에서 '논란의 불씨'는 남아있다고 지적하는 등 전반적으로는 소극적인 보도에 그쳤다.


중앙일보는 16일 <NEIS 갈등 끝났다>에서 일단 갈등을 겪었던 전교조와 한국교총 등도 이번 합의안을 받아들이는 분위기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문제는 위탁 운영때 들어가는 막대한 추가비용"이라며 "3천5백억원 이상의 세금을 더 써야 한다"고 비용 문제를 제기했다.


경향신문은 15일 <NEIS 운영방식 타결, 논란 3개 영역 IDC도입 합의>에서 교육부와 전교조의 주장을 절충한 NEIS 운영방식이 '사실상 합의됐다'고 보도했다. 16일 경향은 <NEIS 학교별 독립서버 구축>에서 남아있는 논란거리를 중심으로 보도했다. 경향은 "운영방식은 합의됐으나 최종안 도출은 실패했다"며 세부적인 논란거리로 △서버를 통합관리 할 학교 규모에 대해 전교조와 교육부 사이의 이견 문제 △학생의 정보삭제 청구권 문제 △일부 단체 '수용불가' 입장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이번 네이스 운영방식 합의를 가장 적극적으로 평가한 신문은 한겨레다. 한겨레신문은 15일 1면 기사 <네이스 분리운영 타결>에서 국무총리실 산하 교육정보화위원회의 합동분과회의에서 합의된 내용을 보도했다. 이어 6면 <명분-실리 한걸음씩 양보 '윈윈게임'>에서는 "이번 합의는 교육인적자원부, 전국교직원노조, 정보담당 교사 등에게 각각 명분과 실리를 안겨줬다"며 네이스 합의 내용과 의미를 상세하게 보도했다. 이어 16일 <"만족수준 아니지만 받아들이겠다">에서는 이번 네이스 운영방식 합의에 대한 각계의 반응과 평가를 보도했다. 한겨레는 일부 불만의 목소리는 있으나 이례적으로 교직·학부모 5개 단체가 공동성명을 내 이번 합의를 평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분위기라고 보도했다. 아울러 한겨레는 △서버를 통합관리 할 학교 규모에 대해 전교조와 교육부 사이의 이견 문제 △예산문제 △관리감독기구 구성 문제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보도했다. 이어 <"정보화·인권보호 두 마리 토끼 잡아">에서는 이번 타협안을 이끈 송인수 좋은교사운동 총무를 인터뷰했다. 여기서 송 총무는 이번 합의에 대해 "모두를 100% 만족시키는 그런 대안은 어차피 나올 수 없다"며 "지금의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예산 문제와 관련해서도 학교별 네이스에 비하면 10/1수준이라고 주장했다.


그간 조선일보를 비롯한 일부 언론은 네이스 문제를 비롯한 사회적 갈등이 빚어질 때마다 이를 크게 부각해 왔다. 이들 신문은 자신들의 입맛에 따라 시위대의 폭력성이나 투쟁 방식 등 갈등의 본질보다는 드러난 양상이나 행태를 부각해 오히려 갈등을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조선일보는 네이스 문제를 비롯해 새만금, 부안사태, 노동문제 등 사회적 갈등이 불거질 때마다 '혼란' '나라가 무너진다' 운운하며 참여정부의 무능함을 질책하고 국민들의 위기의식을 부채질하는데 앞장서왔다.
그랬던 조선일보를 비롯한 일부 언론이 정작 네이스 문제를 합의 한 것에 대해서는 인색하게 보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심지어 조선일보는 이번 네이스 운영방식 합의에 대해서도 마지막까지 이를 깎아 내리고 교육계의 반목을 부추기는 듯한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간 조선일보는 갈등이 부각될 때에는 '냄비저널리즘''떼거리 저널리즘'적 행태를 보이다가 이제 문제가 해결되자 '딴죽걸기 저널리즘'을 시도하고 있다.
이제는 조선일보의 각성을 촉구하는 것조차 부끄러운 지경이다.

 


2003년 12월 16일


(사)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