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_
미디어 4·3사건 역사왜곡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4·3 역사왜곡 미디어 모니터링 결과보고회
등록 2024.11.28 09:23
조회 35

미디어 4·3사건 역사왜곡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민언련·제주4·3재단, 언론보도·유튜브 콘텐츠 및 댓글 전수분석

언론댓글 54.2% ‘공산폭동’ 프레임, 유튜브 16% 부적절 표현

11.29(금) 오후2시 제주4·3평화기념관 1층에서 결과보고회 개최

 

KakaoTalk_20241125_174918567.jpg

 


4·3특별법 등을 통해 국가적으로 공식화된 역사임에도 4·3사건을 왜곡·폄훼하는 표현 문제는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이 제주특별자치도 4·3 역사왜곡 대응 법률지원 등에 관한 조례에 따라 제주4·3평화재단과 진행한 미디어 모니터링에 따른 결과다.

 

최근 3년간 언론보도와 댓글, 5년간 유튜브 콘텐츠와 댓글을 전수 분석한 모니터링에서 공통으로 빈도수가 높게 등장한 단어는 남로당, 폭동, 북한, 역사, 빨갱이, 학살, 희생 등으로 집계됐다. 4·3사건 왜곡·폄훼 프레임은 남로당 중앙지시, 공산폭동, 반공주의, 진상규명 및 보상 왜곡, 지역폄훼 등 5개 유형이 대표적으로 꼽혔다.

 

언론보도는 모두 31개 언론사 4·3 관련 기사 6,414건을 분석했는데, 진보성향 매체 보도량이 보수성향 매체보다 3배 많았다(네이버뉴스 제휴 28개와 제주지역매체 3개). 이들 기사 댓글 중 4·3 포함한 댓글 6,917건에서는 ‘공산폭동’ 토픽이 54.2%를 차지했다. 조선일보 <“이재명, 눈 쫙 찢어보이며 “4·3 폄훼한 사람들 얼굴에 나타난다”>(2024.4·3)처럼 정치인을 거론하며 자극적 발언을 인용한 기사에 왜곡·폄훼 댓글이 가장 많이 달렸다. 댓글을 반복적으로 작성하는 프로댓글러도 다수 발견됐는데, A씨는 제주의소리 기사에 56회 왜곡·폄훼 댓글을 달았다.

 

유튜브는 4·3 관련 채널 236개, 영상 381개, 댓글 38,353건을 분석했는데 뉴스채널이 가장 많이 관련 영상을 등록했다. 영상 381건 중 126개(33.1%)가 부적절한 표현을 포함했으며, 왜곡·폄훼 영상으로 판정된 영상은 61건(16%)이었다. 댓글 38,353건 중 부적절한 표현을 포함한 댓글은 10,623건(27.7%)에 달했다. 특히 정치시사 채널이 4·3에 관한 왜곡된 정보를 전달해 혐오차별을 조장하는 중심지이자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민언련과 제주4·3평화재단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1월 29일(금) 오후2시 제주4·3평화기념관 1층 대강당에서 ‘4·3 역사왜곡 미디어 모니터링 결과보고회’를 연다. 민언련 신미희 사무처장 사회로 진행될 이번 보고회에는 민언련 연구팀 김수정 공동대표, 유승현 정책위원, 이용성 정책자문위원장이 4·3 왜곡·폄훼 유형 및 사례를 발표한다. 토론자로는 금준경 미디어오늘 기자, 김익태 제주기자협회장, 고은경 제주4·3평화재단 연구원이 나서 다양한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2015년부터 5·18기념재단과 함께 5·18 왜곡·폄훼 표현 실태를 분석해온 민언련은 올해 처음으로 4·3사건 미디어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결과보고회 및 연구내용 문의는 민언련 02-392-0181 ccdm1984@hanmail.net로 하면 된다,